*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실패한 약인줄 알았던 렘데시비르 ‘게임체인저’되나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d7028108288_n.jpg



미국의 바이오기업 길리어드가 코로나19 치료제로 실험중인 약인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관련 의약계를 획기적으로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에볼라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하다 중단했지만 정작 이 병 아닌 코로나19 치료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기 때문이다.

◇ 렘데시비르 투약한 중환자 68%가 회복 : 17일 의학전문사이트 웹엠디(WebMD)에 따르면 지난 10일 출간된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는 ‘코로나19 중증환자에 대한 렘데시비르의 사용’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실렸다.
미국과 캐나다, 유럽과 일본의 연구자들이 코로나19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렘데시비르를 투약하는 실험을 실시했는데 약 68%에 해당하는 36명이 산소 지지 정도(oxygen-support) 수준이 좋아지며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호흡기를 사용했던 30명 중 17명(57%)은 이를 벗을 수 있었다.

지난 13일에 국제학술지인 ‘생물화학저널’에 발표된 한 연구는 렘데시비르가 효소의 일부인 것처럼 바이러스를 속이면서 복제를 막는다고 설명했다.
연구는 “렘데시비르는 코로나바이러스 폴리메라아제(중합효소)의 매우 강력한 억제제”라면서 이를 이용하면 바이러스는 확산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폴리메라아제는 중합효소, 즉 DNA와 RNA 같은 핵산 형성의 촉매가 되는 효소를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는 느슨한 코로나 폴리메라아제 조직에 마치 조직 일부인 듯이 섞여들어가 바이러스를 속인 후 RNA 복제를 막는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바이러스에 속한다.

◇ 시카고대 연구 “1주일만에 코로나 완치” : 정식 논문이 아니라 토론 영상 속 정보가 사전 유출된 경우긴 하지만 시카고대학교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도 렘데시비르의 약효가 뚜렷했다.
16일 미국 현지 메디컬매체인 ‘스탯 뉴스’는 이번주 시카고 의료진들이 임상실험 결과를 토론한 영상을 입수해 내용을 분석해 보도했다. 3단계 임상실험에서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들 대부분은 렘데시비르 치료 이후 열과 호흡기 증상이 크게 완화해 1주일도 되지 않아 퇴원했다는 것이다.
시카고대는 상태가 위중한 113명의 환자를 포함해 코로나19 환자 125명을 모집해 임상실험을 진행했다. 모든 환자들은 매일 렘데시비르를 투약받았다.
시카고대 연구진은 고열로 고통받던 환자들이 약을 투약하자 열이 급속도로 내렸고, 인공호흡기를 끼고 있던 일부 환자는 투약 하루만에 자가호흡이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그 결과 대부분이 6일째 퇴원했으며 3명만이 그 이상의 치료 기간이 필요했다. 사망자는 두명이었다.

◇ 실패작인줄 알았던 약품의 성공…속단은 금물 : 렘데시비르는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 항바이러스 제제로 RNA 복제를 막아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원래 에볼라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었으나 MSD와 존슨앤드존슨 등 경쟁사에서 개발한 약물 정도의 효능을 입증하지 못하면서 개발이 중단됐다.
그러나 전임상 단계에서 진행했던 동물실험에서 간염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메르스)에 효능을 보이며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많은 성공 사례들에도 그 효과를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뉴욕 타임스(NYT)에 따르면 길리어드측은 이메일을 통해 “렘데시비르 관련 자료에 대한 관심을 이해하고 있으나, 시험에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선 전체 데이터를 분석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시카고대학 또한 “연구자들간 내부 포럼 정보가 허가 없이 공개됐다”며 “진행 중인 임상 시험의 일부 데이터는 불완전한 데이터로 결론을 내리는 데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임상적으로는 이 약이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연구에 필수적인 비교 대조군이 없다는 약점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즉 약물이 없었더라도 비슷한 속도로 회복했을지 알 수 없다는 의미다. 또 치료 대상 환자수가 너무 적다는 점도 문제다.
길리어드 측은 중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연구 자료는 이달 말쯤, 그리고 추가 정보는 5월 중 공개할 예정이다.
(뉴스1)
추천 0

작성일2020-04-17 09:4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4980 산타클라라 카운티 5월 4일 비지니스 reopen준비중 인기글첨부파일 하민 2020-04-25 2946 0
4979 시장은 '성추행', 부시장은 '뇌물수수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202 0
4978 (야호!) 비영리 단체에서 무상지원금 5천, 7천5백,1만불 신청 받습니다. 10분이면 신청서 작성 완료 (… 댓글[2] 인기글 상식 2020-04-25 2747 0
4977 애국자 비내리는강 어디갔냐? 댓글[3] 인기글 료줌싸개 2020-04-25 2441 1
4976 우리나라 화폐인물에 의문을 느낀다 인기글 진리 2020-04-25 2299 0
4975 문재인 정부 - 거대 여당, 국보법 폐지 만지작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150 0
4974 노트라무스 와 코로나 바이러스 예언 댓글[2] 인기글 꾸러기 2020-04-25 2423 0
4973 피차이 구글 CEO, 작년 보너스만 '3468억원'…직원연봉 중간값 '1000배' 인기글 pike 2020-04-25 2513 0
4972 순국 열사의 모습 댓글[1]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686 0
4971 관제 홍콩 언론, 익명의 중국 관리 인용, 김정은 사망 댓글[3]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3005 0
4970 범죄 용의자 수배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690 0
4969 불곰국 마사지 댓글[1] 인기글 pike 2020-04-25 3516 0
4968 일본, 혁신을 해본적이 없는 나라, 앞으로도 영원히 혁신이 불가능한 나라 댓글[6] 인기글 진리 2020-04-25 2694 1
4967 정신 차려보니 냥아치에게 집사 간택된 썰 인기글 pike 2020-04-25 2759 0
4966 돈때문에 헤어진 커플 댓글[1] 인기글 pike 2020-04-25 3017 1
4965 이시국에 샌디에고에 집산 빌게이츠 부부 댓글[2] 인기글 pike 2020-04-25 2924 1
4964 강아지 데리고 산책나온 줄리아 로버츠 인기글 pike 2020-04-25 2686 0
4963 마켓에 나온 비치 보이스 마이크 러브의 8.7밀리언 샌디에고 맨션 인기글 pike 2020-04-25 2471 0
4962 두살 생일 맞은 귀염둥이 루이 왕자 인기글 pike 2020-04-25 2680 1
4961 5밀리언 빚쟁이에서 빌리언에어 대열에 합류한 카니예 웨스트 인기글 pike 2020-04-25 2607 0
4960 아버지와의 법정싸움 준비 됐다는 메건 마클 인기글 pike 2020-04-25 2650 0
4959 자가격리중 집하나 더 사들인 빌리언에어 카일리 제너 인기글 pike 2020-04-25 2289 0
4958 영국 의료진들 노고에 박수 보내는 윌리엄 왕자와 케이트 미들턴 인기글 pike 2020-04-25 2138 0
4957 이름 `코로나`라 놀림받은 아이, 톰 행크스에게 선물 받아 인기글 pike 2020-04-25 2339 1
4956 아이유 수면 마취. 인기글 pike 2020-04-25 2716 1
4955 폼페오 "중국 공산당 대가 치를 것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677 0
4954 근로 10 대 청소년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1903 0
4953 5 공 시절 10 대 방직공장 여공 출신 국회 의원 당선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389 0
4952 복덩어리들 댓글[2] 인기글 칼있으마 2020-04-25 2688 0
4951 재원도 없는 재난 지원금 인기글 충무공 2020-04-25 2220 0
게시물 검색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