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국군유해 147구 70년만에 조국으로…북한→하와이→한국
페이지 정보
유샤인관련링크
본문
6·25 국군유해 147구 70년만에 조국으로…북한→하와이→한국
'전투기 엄호 비행 받으며 고국으로'(서울=연합뉴스)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가 공군 공중급유기 시그너스(KC-330)로24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하와이를 이륙한 시그너스는 이날 오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한 뒤 공군 전투기6대의 엄호 비행을 받았다. 2020.6.24 [국방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6·25전쟁 국군전사자 유해 귀환 전투기 엄호 비행(서울=연합뉴스)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가 공군 공중급유기 시그너스(KC-330)로 24일 경기도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하와이를 이륙한 시그너스는 이날 오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한 뒤 공군 전투기 6대의 엄호 비행을 받았다.
'전투기 엄호 비행 받으며 고국으로'(서울=연합뉴스)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가 공군 공중급유기시그너스(KC-330)로 24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하와이를 이륙한 시그너스는 이날 오후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한 뒤 공군 전투기 6대의 엄호 비행을 받았다.
70년만에 조국으로 돌아온 6·25 국군유해 147구(서울=연합뉴스) 미국 하와이에서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를 싣고 출발한 공군 공중급유기 시그너스(KC-330)가 24일 오후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70년만에 조국으로 돌아온 6·25 국군유해 147구(서울=연합뉴스) 미국 하와이에서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를 싣고 출발한 공군 공중급유기 시그너스(KC-330)가 24일 오후 성남서울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시그너스에서 내리는 봉환유해인수단(서울=연합뉴스) 24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봉환유해인수단이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가 실린 공군 공중급유기시그너스(KC-330)에서 나서고 있다.
서울공항 도착한 봉환유해인수단(서울=연합뉴스) 24일 오후 국군 전사자 유해 147구와 함께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봉환유해인수단이 공군 공중급유기시그너스(KC-330)에서 내려 공항을 나서고 있다.
6.25 70주년, 참전용사 유해 인수식(서울=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진주만-히캄 합동기지(JBPHH)에서 열린 6.25 참전용사 유해 인수식에서 국군유해발굴감식단이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를 태극기로 관포하고 있다.
6.25 70주년, 참전용사 유해 인수식(서울=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진주만-히캄 합동기지(JBPHH)에서 열린 6.25 참전용사 유해 인수식에서 국군유해발굴감식단이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를 태극기로 관포하고 있다.
6.25 참전용사 유해 옮기는 유해발굴감식단(서울=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진주만-히캄 합동기지(JBPHH)에서 열린 6.25 참전용사 유해 인수식에서 국군유해발굴감식단이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를 인수하여 공중유급기 시그너스로 옮기고 있다.
차량으로 옮겨지는 한국군 유해(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미국 측으로부터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태극기로 관포한 뒤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한국군 유해 태극기 관포(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국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태극기로 관포하고 있다.6.25 한국군 유해 확인하는 유해발굴감식단(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국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확인하고 있다.하와이에서 서울 향하는 한국군 유해(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서 미국 장병들이 한국군 유해를 관포하고 있다.
고국 향하는 6.25 참전용사 유해(서울=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진주만-히캄 합동기지(JBPHH)에서 열린 6.25 참전용사 유해 인수식에서 국군유해발굴감식단이 북한에서 발굴돼 미국 하와이로 옮겨진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를 인수하여 공중유급기 시그너스로 옮기고 있다.
이제 한국으로(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히캄공군기지에서 공군 장병들이 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KC-330 공중급유기에안치하고 있다.
이제 한국으로(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히캄공군기지에서 공군 장병들이 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KC-330 공중급유기에 안치하고 있다.
147구 국군전사자 유해, 70년 만에 한국으로(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히캄공군기지에서 공군 장병들이 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KC-330 공중급유기에 안치하고 있다.
고국으로 돌아갈 준비(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히캄공군기지에서 공군 장병들이 미국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KC-330 공중급유기좌석에 고정시키고 있다.147구 국군전사자 유해, 70년 만에 한국으로(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히캄공군기지에서 공군 장병들이 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를 KC-330 공중급유기에안치하고 있다.
한국으로(서울=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히캄공군기지에서 미국 측으로부터 인수한 한국군 유해가 KC-330 공중급유기에 안치되어 있다.
'어린 포로는 왜 웃고 있었을까'…6·25 참상 희귀사진 공개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열린 씨름대회(서울=연합뉴스)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이해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보유하고 있던 당시 사진을 연합뉴스가 입수했다.이 사진들은 전쟁 발발과 함께 한반도에 파견됐던 국제적십자위원회 관계자들이 기록했던 것으로 전쟁 포로와 참상을기록하고 있다. 국제적십자위원회는 한국전쟁 시작과 동시에 한반도에 파견돼 유엔군과 공산군 간 제네바 협약 준수 감시활동과 난민 구호 활동을 했다. 사진은 1951년 6월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국제적십자위원회 지원으로 열린 체육대회에서씨름대결을 지켜보는 포로들. 2020.6.24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제공.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열린 체육대회1951년 6월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국제적십자위원회 지원으로 열린 체육대회에서 배구대회가 열린 모습.가마솥이 줄지어 걸려있는 거제 포로수용소 취사장1951년 6월 5일 거제 포로수용소를 찾은 프레데릭 비에리 국제적십자위원회 대표단원이 제7 포로수용소의 취사장을살펴보는 모습. 많은 가마솥과 아궁이가 설치돼 있다.
전통 러시아 춤추는 한국전쟁 포로들1951년 6월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이 전통 러시아 춤 공연을 하는 모습.
거제 포로수용소의 취사장1951년 6월 4일 거제 포로수용소 7구역 내 취사장. 진흙 아궁이에 걸린 가마솥에서 쌀과 콩으로 조리된 음식이 조리되고있다고 당시 설명은 전한다.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열린 기마전1951년 6월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이 기마전을 하는 모습을 한국에 파견된 국제적십자위원회 프레데릭 비에리 대표단원이지켜보고 있다. 포로들이 벗은 상체를 보면 매우 영양 상태가 좋아 보인다.
4천여명의 포로와 함께한 체육대회1951년 6월 5일 거제 포로수용소 7구역을 찾은 국제적십자위원회 프레데릭 비에리 대표단원이 포로들과 체육대회에참석해 있다. 이 대회에는 4천여명의 포로가 참석했다.전쟁중 예방 접종한 어린이들1951년 6월 부산에서 예방 접종한 어린이들.
소년 포로와 악수하는 국제적십자위 대표단1951년 6월 4일 거제 포로수용소 7구역에서 국제적십자위원회 프레데릭 비에리 대표단원이 소년 포로와 악수하는 모습.
전쟁 포로 요리사와 미국출신 취사반장과 함께1951년 6월 4일 거제포로수용소를 찾은 국제적십자위원회 프레데릭 비에리 대표단원이 전쟁포로 요리사,미국출신 취사반장과 기념사진을 찍은 모습.
포로 교환 공식 방문한 이승만 전 대통령 내외1952년 2월 19일 포로 교환을 확인하기 위해 방문한 이승만 전 대통령 내외와 테일러 장군의 모습.
부산 포로수용소에서 식사 준비중인 포로들부산에 설치된 미8군 사령부 제1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이 점심식사 준비를 하는 모습.서울 마포 포로수용소에서 조판 작업하는 포로들1952년 5월 13일 서울 마포 포로 수용소에서 한국어,영어,일어,중국어 인쇄물을 위한 조판을 하는 모습.
전쟁 피난민들에게 의류 지원하는 적십자 요원1950년 11월 2일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대한적십자사 직원 황남용(오른쪽에서 두 번째) 씨가 피난민들에게 의류를배포하는 모습.
인천 제2 포로수용소에서 체육 활동하는 중공군 포로들1950년 12월 4일 중공군 포로들이 체육활동을 하는 모습. 이 수용소의 텐트는 국제적십자위원회가 제공한 것이다.
1950년 12월 겨울의 피난 행렬1950년 12월 29일 대구역의 모습. 한 겨울임에도 피난민들이 화차 지붕에 모두 올라가 있다.
1950년 12월 대구역의 피난행렬1950년 12월 29일 대구역의 피난민 사이 외국 군인이 서 있는 모습.
부산 포로수용소에서 바구니를 만드는 포로들1951년 3월 14일 부산의 주한 미8군 사령부 제1 포로수용소에 바구니를 만드는 포로들.
포로 교환 뒤 첫 환자 진료하는 의료진1952년 2월 19일 포로 교환 뒤 자유의 마을에서 첫 환자를 우리측 의료진이 진료하는 모습.1952년 5월 옛 중앙청의 해태상1952년 5월 옛 중앙청 앞 해태상의 모습.
포로 교환을 위해 문산 대기중인 열차와 앰뷸런스1953년 5월 경기도 문산에서 포로 교환을 위해 대기중인 앰뷸런스들. 양측의 포로 교환은 부상을 입었거나 병든 포로를 우선으로1953년 4월 20일부터 5월 2일까지 진행됐다.
한국전쟁 중 미국이 제공한 병원선한국전 당시 미국이 지원한 병원선 (왼쪽부터) '헤븐'과 '콘솔레이션'호.
거제 수용소 지휘관과 악수하는 비에리 국제적십자위 대표단원1951년 6월 5일 거제 포로수용소 7구역을 찾은 국제적십자위원회 프레데릭 비에리 대표단원(오른쪽)이 수용소 지휘관인쿠퍼 소령과 악수하고 있다. 쿠퍼 소령은 50년 유엔군의 북진 시 압록강까지 부대를 이끌었던 유명한 지휘관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거제 포로수용소한국전쟁 당시 거제 포로수용소의 전경.
추천 0
작성일2020-06-28 14:49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