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언론USA Today 보도: "문재인정권의 법원 부정선거의혹 디지털 증거의 보존 거부하기로 결정"
페이지 정보
bumbum관련링크
본문
부정선거 의혹에 관한 소송의 주동자인 변호사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디지털 증거의 보존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법원 만장일치 결정을 며칠 앞두고
문희상 국회의장, 문재인 대통령, 김명수 대법원장,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정세균 국무총리,
권순일 중앙선관위 위원장이 한남동에서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youtube.com/c/%EA%B3%B5%EB%B3%91%ED%98%B8TV%EC%9E%90%EC%9C%A0%EB%AF%BC%EC%A3%BC%EC%A3%BC%EC%9D%98/community
[USA TODAY] Lawyers Accuse South Korea’s Supreme Court of Illegally Meddling in the Lower Court’s Decisions
Jun 24, 2020
대법원이 하급심 판결에 불법 개입했다고 비난한 변호사들
2020년 6월 24일
하급법원은 만장일치로 부정선거 의혹에 관한 소송의 주동자인 변호사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디지털 증거의 보존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서울, 한국, 2020년 6월 24일 / 최근 한국에서 실시된 총선은 부정선거 의혹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137건 이상의 선거 관련 소송이 제기되었다. 언론의 침묵은 한국의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정확한 계획과 유권자들을 사취했을 수도 있는 악의적인 행위자들을 밝혀내기 위해 공정한 절차를 위해 법원으로 눈을 돌리게 했다.
그러나 대법원이 하급심 문제에 개입했다는 최근의 비난에 운동가들과 시민들의 공정한 재판에 대한 희망은 물거품이 됐을 것이다.
문제의 핵심은 선거 관련 자료 보존이다. 415부정선거변호사연대(EFILA)에 따르면 가장 밀접하게 뒤따르는 다수의 변호사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디지털 증거(투표 분류 및 개표기, 이에 연결된 해당 노트북, 서버와 라우터에 저장된 데이터 등)가 나왔다. 조기 투표 과정에 이용되는 것은 그들의 소송에서 중요한 증거다.
그러나 지난 5월 말, 판사들은 한결같이 변호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증거의 상당 부분을 보존하지 않기로 결정해 총선에서 디지털 조작이 있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자료의 소송을 사실상 무산시켰다.
소송이 따로 제기돼 별도로 진행된 증거보존 심청이 전국적으로 동일하다. EFILA는 소송에 필수적인 핵심 증거를 구체적으로 배제한 법원의 획일성이 대법원과 김명수 대법원장의 재판 과정에 조직적으로 개입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또한 판사들이 공개되기 전에 다른 법원의 결정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 단체는 김명수 대법원장이 공직선거법 위반과 하급법원 관할구역에 위헌적으로 개입해 직권을 남용했다고 고발했다.
법원 만장일치 결정을 며칠 앞두고 문희상 국회의장, 문재인 대통령, 김명수 대법원장,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정세균 국무총리, 권순일 중앙선관위 위원장이 한남동에서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The lower courts unanimously decide to deny preservation of digital evidence deemed crucial by lawyers leading cases on the general election fraud allegations
SEOUL, KOREA, June 24, 2020 /24-7PressRelease/ — The recent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has been fraught with fraud allegations and more than 137 election-related lawsuits have been filed. The lack of coverage by the media has led many in Korea to turn to the courts for impartial proceedings to help uncover the exact schemes and the malicious actors who may have defrauded the voters.
However, the activists and concerned citizens’ hopes for fair trials may have been dashed by the recent accusations that the Supreme Court meddled in the lower courts’ affairs.
At the heart of the issue is the preservation of election-relat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4.15 Election Frauds Investigation Lawyers Association (EFILA), a group of lawyers leading many of the most closely followed lawsuits agains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the digital evidence, such as the vote sorting and counting machines, corresponding laptops connected to them, and data stored on servers and routers used in the early voting process, are key evidence in their lawsuits.
But in late May, the judges uniformly ruled to deny the preservation of many of the evidence that the lawyers deem crucial, effectively gutting the lawsuits of materials to support their claims that there was digital manipulation in the general election.
Even though the lawsuits have been filed separately and hence the trials for the preservation of evidence conducted separately, their decisions were identical nationwide. The EFILA claims that the uniformity in the courts’ decisions to specifically exclude key evidence essential in their lawsuits suggest a systematic intervention in the trial process by the Supreme Court and its Chief Justice Kim Myeong-soo. It further argues that the judges knew of the decisions of other courts before they were made public.
The group accused Chief Justice Kim of violating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nd unconstitutionally intervening in the lower courts’ jurisdictions, thereby abusing the authority of his office.
A few days before the unanimous decision by the courts, it was reported that the outgoing Chairman of National Assembly Hee-sang Moon, President Moon Jae-in, the Supreme Court’s Chief Justice Kim, the Constitutional Court’s Chief Nam-suk Yu, Prime Minister Sye-kyun Chung, and the Commissioner of the NEC Soon-il Kwon met for dinner in Hannam-dong, Seoul.
About Us
Gong Byeong-Ho Research Institute and Gong TV, established in 2001, is a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e that publishes commentaries on economic and political current events and provides lectures and written products on areas of self-management, self-improvement, science of success, science of leadership, and future prospects.
Source: 24-7 Press Release Newswire
출처: USA Today
2020.6. 24.
https://classifieds.usatoday.com/pres...
***법원 만장일치 결정을 며칠 앞두고
문희상 국회의장, 문재인 대통령, 김명수 대법원장,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정세균 국무총리,
권순일 중앙선관위 위원장이 한남동에서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youtube.com/c/%EA%B3%B5%EB%B3%91%ED%98%B8TV%EC%9E%90%EC%9C%A0%EB%AF%BC%EC%A3%BC%EC%A3%BC%EC%9D%98/community
[USA TODAY] Lawyers Accuse South Korea’s Supreme Court of Illegally Meddling in the Lower Court’s Decisions
Jun 24, 2020
대법원이 하급심 판결에 불법 개입했다고 비난한 변호사들
2020년 6월 24일
하급법원은 만장일치로 부정선거 의혹에 관한 소송의 주동자인 변호사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디지털 증거의 보존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서울, 한국, 2020년 6월 24일 / 최근 한국에서 실시된 총선은 부정선거 의혹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137건 이상의 선거 관련 소송이 제기되었다. 언론의 침묵은 한국의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정확한 계획과 유권자들을 사취했을 수도 있는 악의적인 행위자들을 밝혀내기 위해 공정한 절차를 위해 법원으로 눈을 돌리게 했다.
그러나 대법원이 하급심 문제에 개입했다는 최근의 비난에 운동가들과 시민들의 공정한 재판에 대한 희망은 물거품이 됐을 것이다.
문제의 핵심은 선거 관련 자료 보존이다. 415부정선거변호사연대(EFILA)에 따르면 가장 밀접하게 뒤따르는 다수의 변호사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디지털 증거(투표 분류 및 개표기, 이에 연결된 해당 노트북, 서버와 라우터에 저장된 데이터 등)가 나왔다. 조기 투표 과정에 이용되는 것은 그들의 소송에서 중요한 증거다.
그러나 지난 5월 말, 판사들은 한결같이 변호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증거의 상당 부분을 보존하지 않기로 결정해 총선에서 디지털 조작이 있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자료의 소송을 사실상 무산시켰다.
소송이 따로 제기돼 별도로 진행된 증거보존 심청이 전국적으로 동일하다. EFILA는 소송에 필수적인 핵심 증거를 구체적으로 배제한 법원의 획일성이 대법원과 김명수 대법원장의 재판 과정에 조직적으로 개입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또한 판사들이 공개되기 전에 다른 법원의 결정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 단체는 김명수 대법원장이 공직선거법 위반과 하급법원 관할구역에 위헌적으로 개입해 직권을 남용했다고 고발했다.
법원 만장일치 결정을 며칠 앞두고 문희상 국회의장, 문재인 대통령, 김명수 대법원장,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정세균 국무총리, 권순일 중앙선관위 위원장이 한남동에서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The lower courts unanimously decide to deny preservation of digital evidence deemed crucial by lawyers leading cases on the general election fraud allegations
SEOUL, KOREA, June 24, 2020 /24-7PressRelease/ — The recent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has been fraught with fraud allegations and more than 137 election-related lawsuits have been filed. The lack of coverage by the media has led many in Korea to turn to the courts for impartial proceedings to help uncover the exact schemes and the malicious actors who may have defrauded the voters.
However, the activists and concerned citizens’ hopes for fair trials may have been dashed by the recent accusations that the Supreme Court meddled in the lower courts’ affairs.
At the heart of the issue is the preservation of election-relat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4.15 Election Frauds Investigation Lawyers Association (EFILA), a group of lawyers leading many of the most closely followed lawsuits agains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the digital evidence, such as the vote sorting and counting machines, corresponding laptops connected to them, and data stored on servers and routers used in the early voting process, are key evidence in their lawsuits.
But in late May, the judges uniformly ruled to deny the preservation of many of the evidence that the lawyers deem crucial, effectively gutting the lawsuits of materials to support their claims that there was digital manipulation in the general election.
Even though the lawsuits have been filed separately and hence the trials for the preservation of evidence conducted separately, their decisions were identical nationwide. The EFILA claims that the uniformity in the courts’ decisions to specifically exclude key evidence essential in their lawsuits suggest a systematic intervention in the trial process by the Supreme Court and its Chief Justice Kim Myeong-soo. It further argues that the judges knew of the decisions of other courts before they were made public.
The group accused Chief Justice Kim of violating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nd unconstitutionally intervening in the lower courts’ jurisdictions, thereby abusing the authority of his office.
A few days before the unanimous decision by the courts, it was reported that the outgoing Chairman of National Assembly Hee-sang Moon, President Moon Jae-in, the Supreme Court’s Chief Justice Kim, the Constitutional Court’s Chief Nam-suk Yu, Prime Minister Sye-kyun Chung, and the Commissioner of the NEC Soon-il Kwon met for dinner in Hannam-dong, Seoul.
About Us
Gong Byeong-Ho Research Institute and Gong TV, established in 2001, is a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e that publishes commentaries on economic and political current events and provides lectures and written products on areas of self-management, self-improvement, science of success, science of leadership, and future prospects.
Source: 24-7 Press Release Newswire
출처: USA Today
2020.6. 24.
https://classifieds.usatoday.com/pres...
추천 2
작성일2020-06-30 12:20
허걱님의 댓글
허걱
맨 마지막 줄에 "classifieds"라는 말을 보고 한참 웃었네요.
"광고"라는 말이잖아요? 기사가 아니라 USA Today에 실린 광고입니다.
"광고"라는 말이잖아요? 기사가 아니라 USA Today에 실린 광고입니다.
bumbum님의 댓글
bumbum
* 유에스 투데이 6월 18일자에 실린 한국의 부정선거에 관한 내용입니다.
한국 관리들이 투표 조작 문제로 인한 두려움을 진정시키지 못하자, 걱정하는 시민들과 운동가들은 거리로 나와 답변을 요구하고 있다
As South Korean Officials Fail to Allay Fears Over The Issues of Vote-rigging, Concerned Citizens and Activists Take to The Streets to Demand Answers
Jun 18, 2020 | 24-7 Press Release
운동가들이 투표 기계에서 투표 조작과 불법 의사소통의 증거를 발견함에 따라 공식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시위가 증가하고 있다.
Protests calling for a formal investigation grows as activists find evidence of vote-rigging and illegal communication features in voting machines
서울, 한국, 2020년 6월 18일 / 한국의 4월 총선이 끝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한국의 최근 4월 총선의 사기 혐의와 관련해 공식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것은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지난 5월 말부터 전국 각 도시에서 이런 주장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는 홍콩 민주화 시위에 고개를 끄덕이며 검은 옷을 입고 시위에서 검은색 우산을 소품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SEOUL, KOREA, June 18, 2020 /24-7PressRelease/ — It’s been more than two months since South Korea’s general election in April, but calls for a formal investigation concerning allegations of fraud in South Korea’s recent general election last April shows no signs of subsiding. In fact, beginning in late May, protests demanding answers concerning these allegations have been held in various cities across South Korea. The protesters, in a nod to the protests for democracy in Hong Kong, dress in black and often use black umbrellas as props in their protests.
민주당의 압승 배경의 진실공방이 통계적 이상 논란에서 투표용지 물리적 변조 증거와 총선용 투표기계로 옮겨갔다.
The battle for truth behind the Democratic Party’s landslide victory has shifted from debates over statistical anomalies to evidence of physical tampering of voting materials and the voting machines used in the general election.
유튜버 한영만씨가 이끄는 운동가들은 5월 16일 투표용지 변조 방지를 위해 투표함을 덮는 도장과 함께 다양한 조기 투표용지를 발견했다. 이 투표함 봉인지들은 강제적으로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
On May 16th, activists led by Young-man Han, a YouTuber, discovered near Namyangju, a city, various early voting materials along with seals used to cover ballot boxes to protect against tampering with the cast votes. These seals appeared to have been forcibly removed.
지난 5월 21일, 통합당 민경욱 의원이 경기도의 한 사전투표소 인근 쓰레기통에서 발견된 투표용지를 파쇄한 채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그는 또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아무런 표시가 되지 않은 사전투표용지와 특정 지역의 사전투표용지 사진을 무더기로 공유했다.
On May 21st, Assemblyman Min Gyeong-wook of the Conservative Party presented in a press conference shredded voting papers that were discovered in a wastebasket near an early voting polling station in the Gyeonggi province. He also shared a stack of unmarked early voting ballots and photographs of certain district’s early voting papers that were found in other districts.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5월 28일 투표기계의 검증작업에 참여하도록 언론을 초청하여 투표기계와 이에 연결된 해당 노트북에는 외부 통신이 가능한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을 입증했다. 그러나 운동가들은 선관위 관계자가 컴퓨터 카드 기능에서 네트워크의 문 역할을 하는 LAN(Local Area Network) 기능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진술함에 따라 선관위의 진술이 일관성이 없다고 밝혔다.
On May 28th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invited the press to take part in the deconstruction of the voting machines to demonstrate that these machines and corresponding laptops linked to these machines were not equipped with features that allow external communication. However, the activists found NEC’s statements inconsistent as an official from the NEC also stated that it had to use software to disable Local Area Network (LAN) card features, which acts as a door to the network from the computer card features because the laptop providers were unable to remove these themselves.
투표 조작 의혹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청와대와 민주다과 통합당 양당은 투표 결과를 철저히 검토하라는 시민들의 요구를 사실상 무시하기로 했다. 그러나, 관련된 시민들과 운동가들은 그들이 한국 민주주의를 위한 역사적인 전투라고 여기는 것을 위해 투쟁을 계속할 것을 맹세하고 있다.
In the face of growing concerns over alleged vote-rigging, the Blue House and both the main democratic and conservative parties have effectively chosen to ignore the citizens’ demands for a thorough review of the voting results. However, the concerned citizens and activists vow to continue the fight for what they consider to be a historic battle for South Korea’s democracy.
한국 관리들이 투표 조작 문제로 인한 두려움을 진정시키지 못하자, 걱정하는 시민들과 운동가들은 거리로 나와 답변을 요구하고 있다
As South Korean Officials Fail to Allay Fears Over The Issues of Vote-rigging, Concerned Citizens and Activists Take to The Streets to Demand Answers
Jun 18, 2020 | 24-7 Press Release
운동가들이 투표 기계에서 투표 조작과 불법 의사소통의 증거를 발견함에 따라 공식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시위가 증가하고 있다.
Protests calling for a formal investigation grows as activists find evidence of vote-rigging and illegal communication features in voting machines
서울, 한국, 2020년 6월 18일 / 한국의 4월 총선이 끝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한국의 최근 4월 총선의 사기 혐의와 관련해 공식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것은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지난 5월 말부터 전국 각 도시에서 이런 주장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는 홍콩 민주화 시위에 고개를 끄덕이며 검은 옷을 입고 시위에서 검은색 우산을 소품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SEOUL, KOREA, June 18, 2020 /24-7PressRelease/ — It’s been more than two months since South Korea’s general election in April, but calls for a formal investigation concerning allegations of fraud in South Korea’s recent general election last April shows no signs of subsiding. In fact, beginning in late May, protests demanding answers concerning these allegations have been held in various cities across South Korea. The protesters, in a nod to the protests for democracy in Hong Kong, dress in black and often use black umbrellas as props in their protests.
민주당의 압승 배경의 진실공방이 통계적 이상 논란에서 투표용지 물리적 변조 증거와 총선용 투표기계로 옮겨갔다.
The battle for truth behind the Democratic Party’s landslide victory has shifted from debates over statistical anomalies to evidence of physical tampering of voting materials and the voting machines used in the general election.
유튜버 한영만씨가 이끄는 운동가들은 5월 16일 투표용지 변조 방지를 위해 투표함을 덮는 도장과 함께 다양한 조기 투표용지를 발견했다. 이 투표함 봉인지들은 강제적으로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
On May 16th, activists led by Young-man Han, a YouTuber, discovered near Namyangju, a city, various early voting materials along with seals used to cover ballot boxes to protect against tampering with the cast votes. These seals appeared to have been forcibly removed.
지난 5월 21일, 통합당 민경욱 의원이 경기도의 한 사전투표소 인근 쓰레기통에서 발견된 투표용지를 파쇄한 채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그는 또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아무런 표시가 되지 않은 사전투표용지와 특정 지역의 사전투표용지 사진을 무더기로 공유했다.
On May 21st, Assemblyman Min Gyeong-wook of the Conservative Party presented in a press conference shredded voting papers that were discovered in a wastebasket near an early voting polling station in the Gyeonggi province. He also shared a stack of unmarked early voting ballots and photographs of certain district’s early voting papers that were found in other districts.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5월 28일 투표기계의 검증작업에 참여하도록 언론을 초청하여 투표기계와 이에 연결된 해당 노트북에는 외부 통신이 가능한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을 입증했다. 그러나 운동가들은 선관위 관계자가 컴퓨터 카드 기능에서 네트워크의 문 역할을 하는 LAN(Local Area Network) 기능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진술함에 따라 선관위의 진술이 일관성이 없다고 밝혔다.
On May 28th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invited the press to take part in the deconstruction of the voting machines to demonstrate that these machines and corresponding laptops linked to these machines were not equipped with features that allow external communication. However, the activists found NEC’s statements inconsistent as an official from the NEC also stated that it had to use software to disable Local Area Network (LAN) card features, which acts as a door to the network from the computer card features because the laptop providers were unable to remove these themselves.
투표 조작 의혹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청와대와 민주다과 통합당 양당은 투표 결과를 철저히 검토하라는 시민들의 요구를 사실상 무시하기로 했다. 그러나, 관련된 시민들과 운동가들은 그들이 한국 민주주의를 위한 역사적인 전투라고 여기는 것을 위해 투쟁을 계속할 것을 맹세하고 있다.
In the face of growing concerns over alleged vote-rigging, the Blue House and both the main democratic and conservative parties have effectively chosen to ignore the citizens’ demands for a thorough review of the voting results. However, the concerned citizens and activists vow to continue the fight for what they consider to be a historic battle for South Korea’s democracy.
상식님의 댓글
상식
classified 는 '비밀등급 분류된' 이라는 의미로 원래 쓰이는 말이죠.... 카테고리별로 보여주는 광고라는 뜻으로 일반 신문에 많이 보이지만... 그 말 자체가 광고는 아닌 거 같아요.
상식님의 댓글
상식
증거를 공개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도 아니고 증거자체를 원천적으로 차후 검증이 불가능하도록 보존을 거부했다? 는 증거인멸과 다를 바 없는 아주 정도가 나쁜 정치공작의 떵 냄새를 풀풀 피운다. 그 죄값을 어찌 다하려고...
상식님의 댓글
상식
정규재나 이준석, 이병태, 머 이런 우파 넘들까지 앞장서서 정권편을 들어준다니 어이가 없지만...
삼립빵 상자, 신권처럼 다발로 묶인 기표지, 유권자 보다 많은 수의 투표인 수, 봉인이 안됐거나 뜯어진 기표함 박스. 보안카메라의 시야를 막은 행위, 투표함 공실확인 부터 개표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 지문으로 입히지 않은 선거는 부정의 의혹을 살 수 밖에 없다.
양정철은 무슨 짓을 했는지, 역사앞에 석고 대죄 해야 할 것이다. 아니면 4.19 때 부정선거의 원흉으로 지목돼 교수형 당한 내무장관 곽영주의 비극을 따를 날이 반드시 올 것이다.
삼립빵 상자, 신권처럼 다발로 묶인 기표지, 유권자 보다 많은 수의 투표인 수, 봉인이 안됐거나 뜯어진 기표함 박스. 보안카메라의 시야를 막은 행위, 투표함 공실확인 부터 개표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 지문으로 입히지 않은 선거는 부정의 의혹을 살 수 밖에 없다.
양정철은 무슨 짓을 했는지, 역사앞에 석고 대죄 해야 할 것이다. 아니면 4.19 때 부정선거의 원흉으로 지목돼 교수형 당한 내무장관 곽영주의 비극을 따를 날이 반드시 올 것이다.
허걱님의 댓글
허걱
https://dictionary.cambridge.org/us/dictionary/english/classifieds
the collection of small advertisements in a newspaper, magazine, or on a website, organized, for example, by available jobs or types of things for sale:
"classified"는 "광고"가 맞습니다. 그것도 "조그만 광고"
보통 이런 내용은 신문사와 전혀 상관없이, 돈 주면 실을 수 있는 글이구요. 기사처럼 보이지만, '광고'라고 신문에 나옵니다.
the collection of small advertisements in a newspaper, magazine, or on a website, organized, for example, by available jobs or types of things for sale:
"classified"는 "광고"가 맞습니다. 그것도 "조그만 광고"
보통 이런 내용은 신문사와 전혀 상관없이, 돈 주면 실을 수 있는 글이구요. 기사처럼 보이지만, '광고'라고 신문에 나옵니다.
상식님의 댓글
상식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조그만 광고... 란 말로도 쓰이겠지요... 군사기밀... 이런건 다 classified 입니다. 다른경우 다른 의미도 있다는 뜻이고 접수가 안되면 허걱님 말씀이 맞는 걸로 해요.